출산 장려금 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2015년 기준으로 한국의 출산율은
224개국 중 220위로 전세계적으로
최하위 군에 속해 있습니다
출산율이 낮아지는 원인으로
여러가지 원인이 있지만
가장 큰 원인은 경제적 요인이죠
그래서 정부에서는
출산 장려금 제도를 통해서
출산율을 끌어올리려고 하는데요
사람들이 출산을 꺼려할 정도의
경제적 압박은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출산 장려금 신청 자격과
받는 혜택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출산율 저하와 경제적인 문제>
현대 사회에서 살아가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주거 공간 확보를 위한
내 집 마련의 부담이 있으며
일을 할 수 없는 노후를 대비한
노후 준비 부담도 있습니다
여기에 아이를 낳게 되면
양육비 까지 부담해야 하는데요
2015년 한 통계에 따르면
아이를 20세 까지 키우는데
20년간 2억 정도의
돈이 들어간다고 합니다
어릴 때는 분유,기저귀 등의 소모품과
유모차,카시트,장난감 등이 들어가고
나이를 먹으면 용돈과 교육비로
상당한 금액이 소모되죠
내 집 마련을 위해서는
일반 직장인이 10~15년간 돈을 모아야
간신히 가능하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데
양육비로 돈을 쓰게 되면
그 기간이 더욱 늘어나게 되며
간신히 양육비와 내 집 마련을 하더라도
노후 준비라는 큰 부담이 남아 있습니다
<출산 장려금 신청 자격과 혜택 확인>
출산 장려금 같은 복지 혜택은
정부와 지자체의 예산으로
운영이 되고 있는데요
시,군,구 별로 보유 예산이 달라서
지역마다 자격과 혜택이 다르며
정부의 조세가 부족한 경우에는
자격 요건이 올라가거나
혜택이 줄어들기도 합니다
포스팅 작성 시기를 기준으로
정확한 정보를 적는다고 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자격과 혜택이 바뀌어서
틀린 정보가 되어버린다는 문제가 있죠
그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복지로 사이트에서 자격과 혜택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복지로는 공공기관 사이트로
출산 장려금의 바뀌는 자격과 혜택이
바로바로 반영이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복지로 홈페이지 링크)
위의 링크를 이용하시거나
인터넷에서 검색을 하셔서
복지로 홈페이지에 접속해주세요
(관련 포스팅 링크)
2부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복지로 사이트에서 자격과 혜택을
확인하는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