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실수령액 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월급을 받게 되면
세금을 납부하게 됩니다
이 세금을 제외한
내가 받는 실제 돈을
월급 실수령액 이라고 합니다
월급에 대한 세금은
세율과 받는 월급의 금액
부양가족 등 여러 요인으로 결정되는데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내 실수령액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하는 계산 방법을 알아보고
정확한 실수령액을 알 수 있는
계산기를 사용해보겠습니다
<월급 실수령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한국에서는 월 60시간 이상
근무하는 근로자의 경우
4대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해하며
4대보험 가입으로 인한
보험료를 납부해야 합니다
여기에 주민세와 지방세를
추가로 납부하게 되는데요
4대보험료,주민세,지방세를 제한
남은 월급을 월급 실수령액이라 합니다
4대보험료는 내가 받는 월급에
일정한 %로 결정이 되며
주민세와 지방세는
받는 월급의 금액과
내 월급으로 생활하는 부양가족의 수
그리고 20세 이하 자녀수로 결정됩니다
<월급 실수령액 변동에 대하여>
관련 계산식이 어렵지는 않습니다만
세금에 대한 법인 세법이 종종 바뀌기 때문에
직접 계산을 하시는 것 보다는
월급 실수령액을 계산해주는
계산기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당연히 무료 계산기로
로그인,회원가입을 하지 않아도
바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http://www.saramin.co.kr/zf_user/
(사람인 홈페이지 링크)
해당 계산기는 취업정보사이트인
사람인에서 이용이 가능한데요
위의 링크를 이용하시거나
인터넷에서 검색을 하셔서
홈페이지에 접속해주시면 됩니다
(관련 포스팅 링크)
2부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계산기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