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 컴퓨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92.168.0.1 접속안됨 에 대한

두번째 포스팅 입니다


1부 포스팅에서는

192.168.0.1 이 무엇인지


그리고 접속이 안되는 2가지 이유 중

첫번째의 해결방법을 알아봤었죠


192.168.0.1 접속안됨 1부

(관련 포스팅 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두번째 해결방법을 알아보고


다 해봐도 접속이 안되는 경우

마지막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부 포스팅 마지막에

알려드린 방법으로 cmd창을 열고


ipconfig 를 입력하신고

엔터를 눌러주세요

<192.168.0.1 접속안됨 -IP 구성>


ipconfig 는 윈도우의 IP구성 정보를

표시해주는 명령어로


입력하시면 여러 정보가 나오는데

중간 정도에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제 컴퓨터의 경우

192.168.0.1 로 되어 있네요


실제로 제 컴퓨터에서는

192.168.0.1을 입력하면

공유기 설정 페이지가 열립니다


그런데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가

192.168.0.1 이고


1부 포스팅에 나온

연결 문제도 전혀 없는데

설정페이지 접속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192.168.0.1 접속안됨 - 스마트폰>

2가지를 다 해결했는데도

컴퓨터로 접속이 되지 않는다면


원인을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컴퓨터에 생겼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 경우 안되는 컴퓨터를 가지고

어떻게든 되게 하려고 노력하기보다

스마트폰을 이용하시길 추천합니다


공유기 설정페이지 접속 조건은

공유기의 와이파이를 사용하면서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를 입력하는 것 이기 때문에


스마트폰으로 공유기 와이파이를 잡으면

접속이 가능하게 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스마트폰으로 접속해보면

이런식으로 접속이 가능합니다


화면이 좀 작기 때문에

컴퓨터로 조작하는 것에 비해서

조금 불편할 순 있습니다만


안되는 컴퓨터, 노트북 가지고

계속 낑낑 대는 것 보다는

스마트폰으로 해결해버리세요

192.168.0.1 접속안됨 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스마트폰이 보급 되면서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을 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게 되었는데


스마트폰의 경우 인터넷을 할 때

데이터를 소모하게 되고


이 데이터의 양이 늘어나면

스마트폰 요금도 함께 늘어나게 됩니다


이 부담을 줄이는 방법은

정액제 인터넷을 공유기에 연결해서

개인 와이파이 존을 만드는 것 이었고


그 결과 와이파이 존을 만드는

공유기가 많이 보급되었습니다



공유기의 설정을 바꾸기 위해서는

인터넷 설정 페이지로 접속해야 하는데


192.168.0.1 은 iptime 공유기의

설정페이지 주소 입니다


접속해서 설정을 바꾸고 싶은데

접속이 안되는 이유와 해결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92.168.0.1 접속안됨 - 조건>


공유기 설정페이지 접속 조건은

2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공유기에서 만드는

와이파이 존을 이용해서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두번째는 공유기의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를

올바르게 입력해야 합니다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

컴퓨터가 인터넷은 되는지

공유기와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해주세요


공유기와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으며

인터넷이 잘 되는 경우에는

연결이 된 상황입니다


공유기와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으나

인터넷이 안되는 경우에는


공유기를 제외하고

컴퓨터에 인터넷 선을 연결해주세요



여기서 인터넷이 잘 된다면

공유기가 고장난 상황이니

a/s를 받으시거나 새로 구입해야 합니다


공유기를 제외하고

컴퓨터에 인터넷 선을 연결했는데

인터넷이 안된다면 인터넷 자체의 문제 입니다


이 경우 인터넷 회사에 전화를 하셔서

인터넷이 안된다고 이야기 하셔야 합니다


노트북의 경우

현재 연결된 와이파이가

공유기의 와이파이 인지 확인하시고


다른 와이파이에 연결되어 있다면

공유기의 와이파이로 접속해주세요

 

 

<192.168.0.1 접속안됨 -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


공유기, 인터넷이 이상 없고

잘 연결되어 있는데도 접속이 안된다면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의 변경 때문입니다


공유기의 제작사에서는

편의를 위해서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를

하나로 통일하도록 설정을 합니다


그래서 iptime 공유기는

192.168.0.1 로 접속이 가능한데


사용자가 무의식 중에 이것을 변경했거나

혹은 사용자는 변경하지 않았는데

오류로 변경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바뀐 주소를 입력해야

공유기 설정페이지 접속이 가능합니다


게이트웨이 주소는

cmd 창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키보드의 왼쪽 아래에 있는

윈도우 키를 누른 상태에서

R 키를 눌러주세요



실행창이 열리면

cmd 라고 입력하고 확인을 누르면

검은색 배경의 cmd 창이 실행됩니다


192.168.0.1 접속안됨 2부

(관련 포스팅 링크)


2부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 확인 명령어와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를 입력해도

설정페이지 접속 안되는 경우의

해결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internet explorer의 작동이 중지되었습니다

에 대한 두번째 포스팅 입니다


1부 포스팅에서는

작동 중지의 3가지 원인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봤었는데요


internet explorer의 작동이 중지되었습니 1부

(관련 포스팅 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부 포스팅 마지막에

알려드린 방법으로

옵션창을 열어주시고



옵션창 오른쪽 제일 위에 있는

고급 탭을 눌러주세요


internet explorer 의

고급 설정창이 표시되는데

<설정 원상복구>


설정의 아래쪽을 보시면

기본 설정 복원 메뉴가 있습니다


복원 메뉴 오른쪽에 있는

원래대로 를 클릭해주세요



어떤 옵션이 복구되는지

안내창이 나오는데


여기서 개인 설정 삭제의 체크를 하시고

복원을 진행하셔야 하는데



개인 설정 삭제를 할 경우

internet explorer에 영향을 주는

모든 설정이 원래대로 복원됩니다


설정 문제를 한번에 해결 할 수 있지만

자동 로그인으로 등록되어 있던

아이디, 비밀번호도 사라집니다


물론 작동중지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어차피 internet explorer를 이용 할 수 없어서

자동 로그인을 사용 할 수 없습니다만


자동 로그인이 될거라 생각했는데

설정 복원 후 안된다는 이야기가 많아서

사전에 경고를 해드리려고 합니다


아이디, 비밀번호가 기억이 안나서

자동 로그인을 도저히 포기할 수 없다면


설정 복원 전에 액티브X 문제 해결을

먼저 시도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액티브X 문제 해결을 통해서

internet explorer의 작동이 중지되었습니다 가

해결이 된다면 설정 복원이 필요 없으니까요

 

 

<액티브X 문제 해결>


액티브X는 특정 사이트에 접속시

사이트 관리자가 자동 설치하도록

유도한 프로그램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인터넷 보급 초기에는

보안 용도로 많이 이용되었으나


사이트 관리자가 바이러스를

액티브X로 등록해두는 경우

오히려 보안에 위험하다는 의견이 나오면서



전세계적으로 액티브X를

사용하지 않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것이 10년도 더된 과거의 이야기 인데

국내의 은행과 공공기관은 아직까지도

액티브X를 사용하고 있죠


그 결과 internet explorer 를 서비스하는

해외에서는 액티브X를 금지하려고 하는데

국내에서는 액티브X는 설치되다보니


액티브X와 충돌이 생기면서

작동 중지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액티브X를 모두 삭제하면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습니다


액티브X의 삭제 방법은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internet explorer 설정에서

일일이 삭제하는 방법도 있고


컴퓨터 관리 프로그램으로

일괄삭제 하는 방법도 있는데


컴퓨터 초심자의 경우

관리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간단하고 편한 방법입니다


http://blogtst.tistory.com/124

(고클린 관련 포스팅 링크)


무료 컴퓨터 관리 프로그램은

종류가 굉장히 많이 있습니다만


예전에 고클린 이라는 프로그램에 대해서

자세히 포스팅을 했엇죠


위의 포스팅을 참고하셔서

고클린을 설치하시고 툴바,액티브X 등


internet explorer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모두 삭제하시면 됩니다

internet explorer의 작동이 중지되었습니다

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컴퓨터로 어떤 작업을 하려면

프로그램을 실행해야 합니다


인터넷을 하려고 한다면

웹브라우져 라는 프로그램을

실행해야 이용 할 수 있는데


실행된 웹브라우져를

"인터넷 창" 이라고 부르죠


웹브라우져는 종류가 다양한데

한국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이


윈도우의 제작사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만든

internet explorer 입니다



internet explorer 을 사용하다가

작동 중지 오류 메세지가 떠서

이용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오류가 발생 원인과

해결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원인>


internet explorer의 작동이 중지되었습니다 의

원인은 크게 3가지 정도로 압축됩니다


첫번째는 explorer 의 설정이

잘못 설정되어 작동이 멈추는 경우


두번째는 액티브X 와의 충돌로

작동이 멈추는 경우


세번째는 explorer 의 버전이

현재 윈도우 버전과 맞지 않는 경우


internet explorer 의 버전을 업데이트 하고

바로 오류가 발생했다면 세번째 경우 입니다



이 경우 internet explorer를 삭제하시고

원래 사용하던 버전의 internet explorer를

인터넷에서 검색해서 설치하시면 됩니다


평소에 internet explorer를 잘 사용했고

버전 업데이트를 하지 않았는데


internet explorer의 작동이 중지되었습니다

메세지가 나온다면 첫번째, 두번째 경우 입니다

대부분 이 경우겠죠

 

 

<internet explorer의 작동이 중지되었습니다 1.>


첫번재 경우인 설정 문제는

internet explorer의 설정을

원상복구 하면 문제가 해결됩니다


물론 이것도 설정을 바꾸지 않았다면

발생하지 않는다고 생각 할 수 있는데


컴퓨터에 설치하는 프로그램 중에는

internet explorer의 설정을 임의대로 조절하는

기능을 가진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도 있고


이 프로그램에서 조작되었다면

사용자는 알지 못하는 사이에

잘못된 설정이 적용되곤 합니다



작업표시줄 제일 왼쪽을 보시면

윈도우 마크나 돋보기 아이콘이 있습니다


돋보기 아이콘은

윈도우 10 에서 추가된 것으로


윈도우 10 버전의 경우

돋보기 아이콘을 클릭해주시고


그 이외의 윈도우 버전은

윈도우 마크를 클릭해주세요


위쪽에 검색창이 나타나면

인터넷 옵션을 입력해주세요


위쪽에 검색 결과로

인터넷 옵션이 검색되면 클릭해서 실행합니다


internet explorer의 작동이 중지되었습니다 2부

(관련 포스팅 링크)


2부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설정을 원상복구 하는 방법과


액티브X 문제의 경우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setdefaultdlldirectories 에 대한

두번째 포스팅 입니다


1부 포스팅에서는

다음 과 같은 오류 메세지의

원인에 대해서 알아봤었죠


프로시저 시작 지점

setdefaultdlldirectories을(를)

DLL KERNEL32.DLL 에서 찾을 수 없습니다


setdefaultdlldirectories 1부

(관련 포스팅 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해결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부 포스팅에서

이어지는 내용이기 때문에


1부를 안보고 오신 분의 경우

보고 오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1부 포스팅 마지막의 과정에 따라

프롬프트 창이 열렸다면


DLL 파일 손상 확인을 하고

복구를 하는 명령어를 입력해야 하는데


그 전에 윈도우 cd(usb)를

컴퓨터에 삽입해주세요

<setdefaultdlldirectories - 윈도우>


스캔 확인 중 손상된 DLL 파일은

윈도우 cd나 usb에서 데이터를 받아서

바로 복구하는 형식으로 작동합니다


윈도우 cd(usb)를 삽입하셨다면

sfc /scannow 를 입력하고

엔터를 눌러주세요



스캔 과정은 제알 마지막 줄에

%로 표시가 됩니다


100% 가 될 때 까지

프롬프트 창을 종료하시면 안됩니다


1. 손상을 확인 할 수 없습니다

2. 손상을 발견하여 복구하였습니다

3. 손상을 발견하였으나 복구할 수 없습니다


이렇게 3가지 중에서

하나의 결과가 표시됩니다


1. 손상을 확인 할 수 없는 경우

다시 프로그램을 실행해주시고

또 setdefaultdlldirectories 오류가 난다면


DLL 파일은 멀쩡한데

호출 과정에서 문제가 생긴 경우입니다


2. 손상을 발견하여 복구한 경우

DLL 파일의 손상이 복구 된 것으로

대부분의 경우 문제가 해결됩니다


3. 손상을 발견하였으나 복구할 수 없는 경우

DLL 파일이 손상이 있는데

복구가 안되는 상황입니다

 

 

<setdefaultdlldirectories - 업데이트>


호출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거나

복구가 안되는 상황이거나


혹은 해결되었다고 뜨는데

똑같은 오류가 생기는 경우


윈도우 DLL 파일 자체에

오류가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윈도우 측에서

업데이트를 통해서 해당 DLL 파일을

수정하는 패치를 진행하게 됩니다



그동안 윈도우 업데이트를 안했다면

업데이트를 모두 진행해보세요


그래도 같은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윈도우를 새로 설치하셔야 합니다


단 어디까지나 같은 오류 가 나는경우

윈도우 재설치가 필요하다는 의미로


이름은 비슷하지만 다른 DLL 파일이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해당 DLL 파일 오류 관련해서

추가로 검색을 해보시길 권장합니다


<setdefaultdlldirectories - 재설치>


윈도우를 재설치 했는데도 불구하고

똑같은 오류가 또 발생한다면


컴퓨터의 하드웨어 문제로

이 경우 A/S를 받아보셔야 합니다

윈도우 cd굽기 에 대한

두번째 포스팅 입니다


1부 포스팅에서는

cd굽기에 필요한 준비물과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윈도우 10 iso 파일을 받아서

바로 굽기하는 과정을 알아봤었쬬


윈도우 cd굽기 1부

(관련 포스팅 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윈도우 7, 8 버전이거나


혹은 윈도우 10 iso 파일이

직접 있으신 분의 경우


직접 굽기를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부 포스팅 마지막에 알려드린 대로

iso 파일이 있는 폴더로 가서

iso 파일에 마우스 우클릭을 해보면


가장 위쪽의 메뉴에

디스크 이미지 굽기가 있습니다

<윈도우 cd굽기 - 디스크 이미지 버너>


디스크 이미지 굽기를 클릭하시면

Windows 디스크 이미지 버너창이 열리면서


굽기를 할 파일과

버너를 정할 수 있습니다


cd굽기를 장치가

DVD인 경우 DVD 드라이브를

USB인 경우 USB드라이브를 정해주세요



디스크 버너 설정이 끝났다면

아래쪽 굽기 버튼을 눌러주시면

윈도우 cd굽기가 시작됩니다


컴퓨터의 성능에 따라서

굽는데 걸리는 시간의 차이가 있으며


DVD의 경우 굽기가 완료되면

굽기 완료 메세지가 표시되고

cd롬이 열리면서 DVD가 나옵니다


usb의 경우 굽기 완료 메세지만

화면에 표시됩니다

 

 

<윈도우 cd굽기 - 설치하기>


굽기가 완료된 DVD나 USB로

포맷 후 윈도우 설치를 할 수 있습니다


하는 방법을 간단히 알아보면

우선 부팅 순서를 변경하셔야 합니다


DVD나 USB를 컴퓨터에 연결하고

재부팅을 해주세요



재부팅이 시작되면

키보드에 있는 delete 키를

위의 움잘 처럼 반복해서 눌러주세요


제대로 누르셨다면

윈도우 로고가 아니라

바이오스 화면이 뜹니다



바이오스 화면은

컴퓨터의 부품인 메인보드에 따라

서로 다르게 생겼기 때문에


위의 그림과 다른 모양의

바이오스 창이 표시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만약 위의 화면과 같은 바이오스 창이 뜬다면

Advanced Setup 메뉴로 들어가셔서


!st Boot Device 를

DVD 나 USB로 바꿔주시면 됩니다


위의 화면과 다른 바이오스라면

메뉴를 이동하시면서


first (첫번째) 라거나 1st (1번째) 가 붙은

device 를 찾아서 마찬가지로 바꾸시면 됩니다


제대로 바꾸셨다면 esc 를 누르시고

저장 후 종료를 해주세요


재부팅이 되는데

윈도우 부팅 DVD(USB)로 부팅되면서

설치 안내 문구가 나옵니다


여기서부터는 한글로 안내가 나오기 때문에

읽어보시고 포맷, 설치를 진행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