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공부와 취업' 카테고리의 글 목록

mkvtoolnix 에 대한

두번째 포스팅 입니다


1부 포스팅에서는

프로그램에 대한 소개와 함께

다운로드 링크를 알려드렸었는데요


mkvtoolnix 1부

(관련 포스팅 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다운로드의 나머지 과정과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부 포스팅 마지막에

링크를 걸어드린 사이트에 접속하면


윈도우 64비트 설치형,포터블 형

윈도우 32비트 설치형, 포터블 형

맥 설치형


이렇게 총 5개의

다운로드 링크가 있습니다


아마 대부분은 윈도우를 사용하실 테니

맥의 경우는 제외하고 설명하겠습니다


사실 맥 사용자라면

어느정도 컴퓨터 지식이 있으니

이런 자잘한 설명이 필요 없으시겠죠

<mkvtoolnix 설치형과 포터블형>


설치형은 말 그대로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이며


포터블은 프로그램의 압축파일을 받아서

설치 없이 압축만 풀어서 사용하는 형태입니다


설치형은 윈도우에 프로그램이 등록되어

제어판에서 삭제가 가능하며

바탕화면에 아이콘이 생성됩니다


프로그램을 사용하거나

삭제하는데 조금 더 편리하죠

반면 설치형의 특성상

레지스트리와 윈도우 상에 디지털 찌꺼기가

남는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포터블의 경우 디지털 찌꺼기는 없지만

아이콘도 직접 만드셔야 하며

삭제도 직접하셔야 합니다


포터블이 뭔지 모르겠다

-> 설치형 쓰시면 됩니다


<mkvtoolnix 사용법 안내>


1부에서 언급 했듯이

자르기,붙이기 2가지에

특화된 프로그램 입니다


우선 자르기 기능 부터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메인 화면의 아래쪽에 있는

소스 파일 추가를 클릭하시고

자르기를 할 동영상을 선택해주세요



동영상 불러오기가 끝났다면

위쪽의 탭에서 출력을 클릭하시고


분할 모드를 지정 타임코드 이후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타임코드란 동영상이 재생되는

00:00:00 (시간:분:초) 를 표시한 형식으로


내가 지정하는 시간을 기준으로

동영상이 나눠지게 됩니다



예를들어 위의 그림 처럼

00:10:00 , 00:20:00 으로 입력하면


동영상에서 10분과 20분을 기준으로

2번 자르라는 의미가 됩니다



영상의 2 지점을 자르게 되면

영상은 총 3개로 분할이 되겠죠



분할을 할 지점의 선택이 끝났다면

아래쪽의 합치기 시작을 클릭해주세요


사실 저 메뉴는 번역이 잘못 된거 같은데

지정한 작업을 시작하라는 메뉴이기 때문에

"작업 시작" 이 맞다고 생각되네요



원본 파일이 있는 폴더에

원본 파일 이름 뒤에 숫자가 붙어서

분할된 결과물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자르는데 걸리는 시간은

대략... 3초 정도 걸린거 같네요

 

 

<mkvtoolnix 사용법 - 합치기>


합치기의 경우 제일 앞에 올 파일을

소스 추가로 먼저 추가를 해주세요


추가된 소스파일에

마우스 우클릭을 해보시면

추가 메뉴가 나타나게 되는데



파일 결합하기를 선택하시면

파일 뒤에 붙일 파일을

선택하는 창이 열립니다



파일 결합은 한번에 하나만 선택할 수 있는데

추가로 더 하고 싶은 경우에는

또 파일 결합하기 하시면 됩니다


원하는 순서대로 원하는 만큼

파일 결합 준비가 되셨다면


아래쪽의 합치기 시작을 클릭하시면

합치기가 진행되며


제일 처음에 선택했던 파일이 있는 폴더에

합쳐진 결과물이 생성됩니다

mkvtoolnix 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동영상을 자르고 붙일 수 있는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무료 프로그램으로


해외 프로그램이지만 한글을 지원해주면서

점점 인지도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고화질의 영상을

누구나 쉽게 찍을 수 있게 되고


SNS,동영상 사이트, 커뮤니티 사이트 등

업로드 할 수 있는 플랫폼도 많아지면서

동영상 편집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여기에 따라 국내에도

무료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이 많습니다


국내 프로그램들과 비교해서

mkvtoolnix 의 장단점,다운로드,사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kvtoolnix 의 특징>


국내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의 경우

자주 사용하는 주요 기능들을

모두 포함하도록 제작합니다


반면 mkvtoolnix 의 경우

동영상 자르기,붙이기 2가지에

특화된 프로그램 입니다


언듯 보기에는 국내 프로그램이

더 좋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기능이 다양하기 때문에 프로그램이 무겁고

저사양 컴퓨터에서는 렉이 걸리기도 하며


편집한 동영상을 인코딩 하는데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최소한 2~3분 이상)


거기에 기능이 많은 만큼

사용법이 복잡하기 때문에

사용법을 배워야하죠



반면 mkvtoolnix 의 경우

2가지 기능 특화 프로그램이라서

사용법이 엄청나게 간단하며


프로그램이 가볍기 때문에

저사양 컴퓨터에서도 쓸 수 있고


인코딩 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10초 내외로 끝나기도 합니다


즉, 내가 동영상을 편집하고 싶은데

자르고,붙이기 2가지만 있으면 된다


그리고 내 컴퓨터의 성능이 저사양이라면

mkvtoolnix 는 꽤 좋은 프로그램 입니다

 

 

<mkvtoolnix 다운로드 운영체제 확인>


프로그램의 버전이

32비트와 64비트 2가지로 나뉩니다


우선 자신의 컴퓨터의

운영체제 비트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윈도우 탐색기를 실행해주시고

내 PC(내 컴퓨터)에 마우스 우클릭 후


메뉴 리스트 중 아래에 있는

속성을 클릭해주세요



컴퓨터에 대한 기본 정보 보기의

시스템 종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 64비트 운영 체제군요)


https://www.fosshub.com/MKVToolNix.html

(mkvtoolnix 다운로드 링크)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는

fosshub 사이트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위의 링크를 이용하시거나

인터넷에서 fosshub를 검색하셔서

홈페이지에 접속해주세요


mkvtoolnix 2부

(관련 포스팅 링크)


2부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와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경력계산기 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과거에는 하나의 직장에

오래 다니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평생 직장 이라는 말도 있었고

이직을 하는 사람은 충성심이 없다며

안좋게 보는 시각도 있었죠



하지만 수명이 점점 늘어나고

정년 보장이 안되기 시작하면서


하나의 직장에 충성하기 보다는

더 좋은 조건과 대우를 따라서

이직하는 일이 늘어났으며


이직을 하지 않는 사람은

능력이 없는 사람이라는

인식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직에서는 경력이 중요한데

내 총 경력이 얼마나 되는지

계산이 조금은 헷갈리죠


경력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계산을 해주는

경력계산기를 알아보겠습니다

<경력 인정의 기준>

 

국내에서는 한달에 60시간 이상

근무하는 근로자는 의무적으로

4대보험에 가입해야 합니다


4대보험에 가입하게 되면

매달 보험료를 납부해야 하는데


이 보험료는 근로자의 급여를 기준으로

일정한 % 요율로 결정되며


결정된 보험료를

근로자와 고융주가 각 절반씩

부담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즉, 4대보험 정보를 확인해보면

언제부터 언제까지 어느 회사를 다녔는지


연봉은 얼마를 받았는지

모두 알 수 있게 되는데


이런 이유 때문에 4대보험 납부확인서가

경력증명서의 대체로 쓰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경력계산기에 입력하는

경력에 대한 기록은


4대보험 관련 기록을 기준으로

입력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4대보험 납부확인서 발급>


4대보험은 각 보험별로

공단이 나눠져 있으며


각 보험의 납부 확인서는

해당 공단에서 발급할 수 있습니다


경력 확인 용도라면

4개 보험의 납부확인서를

모두 발급할 필요 없이


하나의 보험 납부확인서만

확인하시면 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건강보험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http://www.nhis.or.kr/retrieveHomeMain.xx

(건강보험 공단 홈페이지 링크)


위의 링크를 이용하시거나

인터넷에서 검색을 하셔서

건강보험 홈페이지에 접속해주세요


http://blogtst.tistory.com/219

(납부확인서 발급 관련 포스팅)


나머지 발급 과정은

다른 포스팅에서 한번 설명했었죠

해당 포스팅으로 대체하도록 하겠습니다


<경력계산기 사이트 안내>


경력을 정확히 아시게 되었다면

이제 실제 계산기를 이용해 봐야겠죠


국내에는 취업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가 굉장히 많이 있는데


그 중에 커리어 라는 사이트에서는

경력계산기를 무료로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http://career.co.kr/

(커리어 홈페이지 링크)


위의 링크를 이용하시거나

인터넷에서 커리어를 검색하셔서

사이트에 접속을 해주세요


경력계산기 2부

(관련 포스팅 링크)


2부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커리어 홈페이지에서 경력계산기의 위치와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경력증명서 인터넷발급 에 대한

두번째 포스팅 입니다


1부 포스팅에서는

경력증명서 발급 방법 2가지와

구성 양식에 대해서 알아봤었는데요


경력증명서 인터넷발급 1부

(관련 포스팅 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력증명서 발급 과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부 포스팅 마지막에

링크를 걸어드린 사이트에 접속해서


사이트의 상단에 있는

민원신청 메뉴를 클릭하신 후

개인민원(조회/증명)으로 들어가주세요

<경력증명서 인터넷발급 - 본인인증>


경력증명서도 개인정보로

분류되기 때문에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와

공인인증서로 본인인증을 하셔야 합니다


공인인증서가 없으신 분의 경우

거래하시는 은행을 방문하셔서


은행 창구에서 발급 요청을 하시면

무료로 발급하실 수 있습니다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하시면

각종 조회 관련 메뉴가 있는

페이지로 연결이 되는데


오른쪽을 살펴보시면

가입자 증명서 발급 메뉴가 있습니다


클릭하시면 본인인증 화면으로 연결되며

공인인증서로 본인 인증을 하시면

발급이 가능합니다

 

 

<경력증명서 인터넷발급 - 가입증명서?>


1부 포스팅에서 잠깐 언급했지만

가입증명서는 나와있는 정보 때문에

경력증명서를 대체할 수 있는 서류입니다


실제 많은 회사에서

경력을 확인할 때


가입증명서나 4대보험 관련 서류를

확인하고 있는데요


대체는 어디까지나 대체일 뿐

완전히 같은 서류는 아닙니다



경력증명서에는 예전 직장에서

근무했던 부서,직책,업무의 내용을

추가할 수 있지만


가입증명서에는 회사명과

회사를 다닌 기간, 연봉만 확인이 가능하죠


대부분의 회사에서는

이런 부분을 문제삼지 않습니다만


혹여나 문제를 삼는 경우에는

예전 직장을 통해서 경력증명서를

발급하시는 수 밖에 없습니다

 피보험자 이직 확인서 에 대한

두번째 포스팅 입니다


1부 포스팅에서는

이직확인서를 안주는 경우

대처방법에 대한 부분과


이직확인서에서 1~12번의

작성법을 알아봤었죠


피보험자 이직 확인서 1부

(관련 포스팅 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13번 이후의 항목의 작성법과


이직확인서 양식을

다운로드 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부 포스팅에서 이어지는 내용으로

1부 포스팅을 안보신 분의 경우

내용이해에 어려움이 있으니


포스팅을 보고 오시는 것을

권장하는 바 입니다

피보험자 이직 확인서 13~15.

피보험단위기간 산정대상 기간


피보험자 이직 확인서 의

13~15번 문항은 고용보험의

가입기간에 대한 부분입니다


피보험단위기간 이란 고용보험에

가입해서 보험료를 납부한 기간을 말하는데

1개월 단위로 끊어서 입력하셔야 하며


보수지급 기초일수는

단순히 1개월 근무했다고 30일이 아니라

실제 월급을 받은 날 만 기준으로 합니다


주 5일제 회사의 경우

일주일 중 보수지급 기초일수는

근무한 5일과 주휴수당 1일로 총 6일 입니다



기입은 1개월 단위로 끊어서

입력하시면 되는데


16년 1월의 경우

4주 + 금,토,일(3일) 이죠


월~금은 근로를 하는 날이고

토요일은 주휴수당을 받는 날이며

일요일은 휴무일로 취급하기 때문에


31일 중 일요일 5일을 제외한

나머지 26일이 보수지급기초일수가 됩니다


보수지급 기초일수가 180일 이상 이면

실업급여의 최대 대상자가 되기 때문에

총 8칸 까지 밖에 없습니다


즉 8개월 이상 근무하셨더라도

8개월 분 만 적으시면 됩니다


피보험자 이직 확인서 16.

기준기간연장



기준기간은 퇴사이전 18개월을 의미하는데

해당 기간동안 피치못할 사정으로 휴직하여


연속으로 30일 이상 급여를 받지 못한

기간을 입력하는 란 입니다


아래쪽의 기준기간 연장사유 코드를 보시고

해당하는 사유의 경우 입력하시면 됩니다


질병.부상.사업장 휴업.임신.출산.육아 가

가장 대표적인 사유들입니다

 

 

피보험자 이직 확인서 17~23

평균 임금 산정 부분


퇴사로 인해서 받는 지원금은

모두 퇴사전 3개월 동안 받은 임금의

평균을 기준으로 책정됩니다


17~23번 란은 평균임금을

산정하기 위한 정보 입력란 입니다



예를들어 2016년 3월 20일에

퇴사를 한 사람을 기준으로 작성하자면


퇴사전 3개월은

15년 12월 21~16년3월20일 입니다



이런식으로 월을 섞지 않고

3개월을 나눠서 적으시면 되며


해당 기간에 받은 기본급과

추가수당,상여금 등을 입력하면 됩니다


<피보험자 이직 확인서 양식 다운로드>


해당 양식은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s://www.ei.go.kr/ei/eih/cm/hm/main.do

(고용보험 홈페이지 링크)


위의 링크를 이용하시거나

인터넷에서 검색을 하셔서

고용보험 홈페이지에 접속해주시고



홈페이지의 오른쪽 위에 있는

자료실을 클릭해주세요



자료실에서 이직확인서를 검색하신 후

파일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피보험자 이직 확인서 양식을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경력계산기 에 대한

두번째 포스팅 입니다


1부 포스팅에서는

경력으로 인정되는 기준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경력계산기가 있는 사이트를

알려드렸었는데요


경력계산기 1부

(관련 포스팅 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경력계산기를 사용하는 과정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부 포스팅 마지막에

링크를 걸어드린 사이트에 접속해서


사이트의 상단을 보시면

파란색 띠 모양 배경 위에

흰색 글씨로 메뉴가 나와 있습니다


메뉴 중 교육정보 아래를 보시면

연봉계산기 링크가 있습니다

클릭해주세요

<취업성공 툴>


해당 사이트에서는 취업에서 필요한

계산을 지원하는 계산기를 모아서

성공취업 툴 이라고 부르는데요


연봉계산기를 비롯한

이력서 글자수 세기, 학점변환

어학변환, 경력계산기 등이 포함됩니다



계산기의 상단을 보시면

선택하는 메뉴가 있는데

제일 오른쪽에 총 경력계산기가 있습니다


클릭하셔서 계산기를 여시고

1부 포스팅에서 알려드린

관련 서류를 바탕으로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시고

계산하시면 됩니다

 

 

<경력계산기 사용 방법 안내>


회사별로 입사한 월과

퇴사한 월을 선택하시면 되며


회사가 여러곳 일 경우에는

오른쪽의 +추가 버튼을 눌러서


입사,퇴사 입력칸을

하나더 만드는 것도 가능합니다



필요한 정보를 모두 입력하셨다면

아래쪽의 변환하기를 클릭하면


입력한 기간을 모두 계산해서

총경력이 몇년 몇개월 인지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