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PC게임' 카테고리의 글 목록

스팀 아이디찾기 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스팀 게임, 소프트웨어 같은

프로그램의 판매 관리를 지원하는

디지털 관리 멀티 플레이어 플랫폼 입니다


복잡하게 들리는데

노래를 음원 사이트에서

돈을 내고 다운로드 받는 것 처럼


게임, 프로그램을 스팀에서

돈을 내고 다운로드 하는 개념이죠



워낙 다양한 게임이 있고

할인도 굉장히 자주 하고

무료 게임도 많기 때문에


게임에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스팀 아이디를 가지고 있기 마련인데요


스팀을 사용하려는데

아이디가 기억이 안나서

곤란한 경우가 종종 있죠


스팀 아이디찾기를 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팀 아이디찾기 - 홈페이지 한글>


스팀 홈페이지에서

아이디 찾기를 할 수 있는데


스팀이 해외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기본 언어가 영어로 되어 있습니다


영어는 보기가 어렵기 때문에

언어를 한국어로 바꾸는 것이 편합니다


http://store.steampowered.com/

(스팀 홈페이지 링크)


위의 링크를 이용하시거나

인터넷에서 검색을 하셔서

스팀 홈페이지에 접속해주세요



홈페이지의 오른쪽 위를 보시면

language 라는 메뉴가 있는데

언어를 설정하는 메뉴 입니다


클릭하시면 지원되는 언어 리스트가 나오는데

한국어(Korean)를 클릭해주세요


홈페이지가 한국어로 변환 되면서

시간이 조금 걸립니다

 

 

<스팀 아이디찾기 - 아이디와 비밀번호>


홈페이지가 한국어로 변경되었다면

이제 실제 아이디 찾기를 해볼텐데


아이디 찾기, 비밀번호 찾기가

따로 분리되어 있지 않습니다


아이디를 모르는 상태에서도

비밀번호 찾기를 할 수 있으며


비밀번호 찾기를 하다보면

아이디가 자동으로 표시되는 구조입니다


즉 비밀번호 찾기를 하시면

아이디를 찾을 수 있습니다



다시 홈페이지 오른쪽 위를 보시면

language 로 되어있던 메뉴가

언어로 바뀌어있고


언어 메뉴 왼쪽에

로그인 메뉴가 있습니다



로그인 메뉴를 눌러보시면

로그인 창으로 연결되는데


아래쪽에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라는

링크가 있습니다



해당 링크를 눌러보시면

스팀 고객지원으로 연결되는데


고객지원 메뉴 중에서

Steam 계정 이름 또는 비밀번호를 분실하였습니다.

를 클릭하시면 아이디, 비밀번호 찾기가 시작됩니다


http://blogtst.tistory.com/431

(스팀 비밀번호 찾기 포스팅 링크)


이후의 과정은 비밀번호 찾기 포스팅을 하면서

자세히 다뤘었죠


위의 포스팅을 참고하셔서

아이디, 비밀번호를 찾으시면 됩니다

스팀 비밀번호 찾기 에 대한

두번째 포스팅 입니다


1부 포스팅에서는

스팀 홈페이지의 링크와


홈페이지의 언어 표시를

한국어로 변경하는 방법


계정, 비밀번호 찾기 메뉴로

접속하는 방법을 알아봤었죠


스팀 비밀번호 찾기 1부

(관련 포스팅 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비밀번호를 찾는 나머지 과정과


인증 코드를 받는데 필요한

메일 계정을 삭제했다거나


전화번호를 바꿔버린 경우의

대처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부 포스팅에서

이어지는 내용이기 때문에


1부를 안보고 오신 분의 경우

보고 오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스팀 비밀번호 찾기>


1부 포스팅의 순서대로 진행하시면

계정 정보 확인창이 뜨는데


스팀 계정에 등록했던

3가지 정보 중 하나를 입력하는 창이 열립니다



스팀 아이디, E메일, 전화번호 3가지 중에서

전화번호의 경우 조금 특이한데


국내 사이트의 경우

스마트폰 인증이 보편화 되어 있습니다만


스팀의 경우 해외 사이트라서

E메일 인증만 하면 회원가입이 됩니다


즉 기본적인 스팀 회원가입을 할 때는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죠



추가보안을 희망하는 사람만

전화번호를 추가로 등록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전화번호 인증은 E메일 인증 보다

상위 보안으로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즉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으면

전화번호로만 인증이 가능하며

E메일로는 안됩니다


<스팀 비밀번호 찾기 - 인증 코드>

전화번호, E메일, 아이디

3가지 중에 한가지를 입력하고 검색하면

관련 계정 정보를 스팀 서버에서 검색합니다


일치하는 결과가 있는 경우

등록된 계정을 찾았다고 나옵니다



전화번호로 정보를 찾은 경우

전화번호로 계정 인증 코드 문자를

발송하는 메뉴를 누르시면 되고



E메일로 정보를 찾은 경우

E메일로 계정 인증 코드 발송하기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일치하는 결과가 없다고 나올 경우

잘못 입력한 경우이니 다시 입력해주세요

 

 

<메일 계정 삭제, 전화번호 변경>


일치하는 계정을 찾기는 했는데

해당 메일 계정을 삭제했다거나

전화번호를 바꾼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 인증 코드를 발송하더라도

내가 확인할 방법이 없습니다


이때는 코드 발송하기 아래에 있는

저는 더이상 이 전화번호(이메일 주소를)

소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비밀번호 입력하라는 창이 뜨는데

우리는 지금 비밀번호를 모르죠?


아래쪽에 있는

비밀번호를 잊어버렸습니다를 누릅니다



그러면 계정복구 창으로 연결됩니다

여기서 요구하는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기억이 잘 안나더라도

일단 생각나는대로 입력하시고

아래쪽의 보내기를 눌러주세요


스팀 고객센터에서 확인을 하고

정보가 일치하면 비밀번호를 찾을 수 있습니다


<번호가 바뀌지 않고 메일을 삭제하지 않은 경우>


전화번호를 바꾸지 않았거나

메일을 삭제하지 않은 경우에는


문자, E메일을 확인해보시면

Steam Support(스팀 지원)에서 온

문자나 메일이 있는데



거기에 보시면 영어와 숫자가 조합된

인증코드가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3X8FG 라는 코드가 왔네요



코드를 입력하시면

스팀 아이디가 모두 표시되고

아래쪽에 비밀번호 변경하기 가 있습니다


클릭하셔서 내가 원하는 비밀번호로

변경을 해주시면 됩니다

스팀 비밀번호 찾기 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스팀은 밸브 코퍼레이션에서 개발한

디지털 관리 멀티 플레이어 플랫폼으로


게임, 소프트웨어 같은

프로그램의 판매,관리를 지원합니다



게임, 소프트웨어의 경우

불법복제로 인한 피해가 심각한데


스팀을 통해서 구매, 관리 되도록 해서

불법복제를 억제하고


프로그램을 온라인으로 서비스해서

가격 절감이 가능해졌습니다


실제로 게임 좀 좋아하시는 분은

대부분 스팀 아이디를 가지고 있는데


스팀 비밀번호를 잊어버려서

곤란한 상황이라거나


비밀번호 찾기를 하다가

등록했던 E메일이 없어서

곤란한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팀 비밀번호 찾기 - 홈페이지>


스팀 비밀번호는

스팀 홈페이지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이용하셔서

스팀 홈페이지에 접속을 해주세요


http://store.steampowered.com/

 (스팀 홈페이지 링크)


스팀의 개발사가 해외이기 때문에

홈페이지는 기본 영어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영어는 보기가 불편하기 때문에

언어를 한국어로 변경해야겠죠



홈페이지 오른쪽 위를 보시면

language 버튼이 있습니다


눌러보시면 지원되는 언어 리스트가 나오는데

한국어(korean)을 클릭해주세요


홈페이지의 언어 설정이 변경 되는 동안

잠시 기다려주세요

 

 

<스팀 비밀번호 찾기 - 로그인>


홈페이지의 언어가 한국어로 변경되면

다시 홈페이지 오른쪽 위를 봐주세요


아까 language 로 되어 있던 메뉴가

언어로 바뀐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언어 왼쪽을 보시면

로그인 버튼이 있습니다

눌러서 로그인 창으로 이동해주세요



로그인 창 아래쪽을 보시면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메뉴가 있습니다

클릭하시면 스팀 고객지원 메뉴로 연결됩니다



Steam 고객지원 메뉴에서

계정 이름 또는 비밀번호를 분실하였습니다 를

클릭하시면 찾기 를 시작 할 수 있습니다


스팀 비밀번호 찾기 2부

(관련 포스팅 링크)


2부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비밀번호를 찾는 나머지 과정과


메일 계정을 삭제했거나

전화번호를 변경한 경우의

해결방법도 알아보겠습니다

배그 디스코드 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배틀 그라운드 게임 안에서도

자체적인 음성 채팅 시스템이 있지만


최근에는 디스코드 라고 하는

외부 프로그램을 주로 사용합니다



다른 게임과의 호환성

사람별 볼륨 조절, 뛰어난 음질 등

여러가지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배그 디스코드를 써보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하는지 모르는 분 부터


배그 디스코드 오류가 발생해서

해결해야 하는 분 까지


그동안 디스코드 관련 포스팅을

총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배그 디스코드  - 설치>


디스코드는 외국의 한 모바일 게임 회사가

자사의 게임을 지원할 목적으로

개발한 음성채팅 프로그램 입니다


보통 게임의 음성채팅 지원 프로그램은

해당 게임에서만 작동하도록 만드는데


디스코드는 특이하게도

게임과 상관없이 쓸 수 있게 만들었고


그 결과 게임은 망했지만

디스코드의 사용자는 많아지면서

오히려 디스코드가 주력 프로그램이 됩니다



https://discordapp.com/

(디스코드 홈페이지 링크)


다운로드는 디스코드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하실 수 있습니다


위의 링크를 이용하시거나

인터넷에서 검색을 하셔서

홈페이지에 접속을 해주세요


http://blogtst.tistory.com/371

(디스코드 다운로드, 한국어 설정 포스팅 링크)


디스코드의 다운로드 나머지 과정과

한국어 설정 방법에 대해서는

다른 포스팅에서 이야기를 했었죠



설치를 하려고 하는데 위의 그림 처럼

installation has failed 오류가 나기도 하는데


2가지 원인이 있으며

각 원인별로 메세지가 달라서

메세지를 보고 해결이 가능합니다


http://blogtst.tistory.com/392

(디스코드 installation 오류 관련 포스팅 링크)


이것 역시 다른 포스팅에서

자세히 다뤘던 내용이죠


오류가 나시는 분의 경우

위의 포스팅을 참고하셔서

해결하시면 됩니다

 

 

<배그 디스코드 - 로그인 오류>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로그인을 하고 사용하시면 되는데


로그인을 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래쪽의 빨간 글씨를 보시면

new login~~ 가 문제라고 나오는데


http://blogtst.tistory.com/388

(디스코드 new login 오류 관련 포스팅 링크)


이런 new login 오류의 원인과 해결방법도

다른 포스팅에서 자세히 다뤘엇죠


위의 포스팅을 참고하셔서

오류를 해결하시면 됩니다


<배그 디스코드 - 서버, 채널>


디스코드의 시스템은 크게

서버와 채널 2가지로 구분이 되는데


서버에 모인 사람들 중에서

원하는 사람고 채널을 생성해서

음성채팅을 하는 방식입니다


길드에 모인 사람 중에서 원하는 사람과

파티를 짜는 것과 비슷한 방식이죠


차이점은 길드는 하나만 소속이 되지만

디스코드의 서버는 여러개를

자유롭게 오가는 것이 가능합니다



서버를 추가하고 싶다면

디스코드 메인화면에서

왼쪽의 서버리스트에 있는 + 를 눌러주세요



새로운 서버를 만들거나

다른 사람이 만든 서버에

참가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http://blogtst.tistory.com/373

(디스코드 서버 생성, 서버 참여 관련 포스팅 링크)


서버의 생성과 참여에 대해서도

다른 포스팅에서 자세히 다뤘었죠


위의 포스팅을 참고하셔서

서버에 참여하시면 됩니다

스파이더 카드놀이 에 대한

두번째 포스팅 입니다


1부 포스팅에서는

윈도우 버전별로 스파이더 카드놀이의

설치 여부에 대해서 알아봣었죠


스파이더 카드놀이 1부

(관련 포스팅 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윈도우 7 과 윈도우 10에서


스파이더 카드놀이를 이용하는

나머지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1부 포스팅에서 알려드린 순서대로

진행을 하셔서 열린 창의 왼쪽을 보시면


윈도우 기능 사용/사용 안함 이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1부에서 이야기 했던

활성화,비활성화를 선택하는 메뉴 입니다

<윈도우7 스파이더 카드놀이 활성화>


메뉴 내부로 들어가시면

여러가지 기능들이 표시되는데


스크롤을 아래로 내리면서

게임 항목을 찾아주세요


저 같은 경우는 절반 정도 내리니까

찾을 수 있었습니다



게임 항목을 찾으셨으면

앞의 + 를 클릭해주시고


내부의 게임 목록 중

원하는 게임을 체크해주세요

여기서는 스파이더 카드놀이겠죠


마지막으로 확인을 눌러주시면

활성화 되면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윈도우 10 스파이더 카드놀이>


1부 포스팅 마지막에

알려드린 방법을 통해서

스토어를 활성화 시켜주신 후


스토어의 오른쪽 위를 보시면

검색창이 있습니다



검색창에 Spider card(스파이더 카드)로

검색을 해주세요


마이크로소프트 솔리테어 콜렉션 이라는

게임이 검색이 되실텐데



스파이더 카드놀이의 정식 이름이

마이르코소프트 솔리테어 콜렉션 입니다

클릭하시고 설치를 해주시면 됩니다


이름은 영어 이지만

한글언어팩을 지원하기 때문에

게임은 한글로 하실 수 있습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작업표시줄 검색창에

sol 을 입력합니다


검색결과로 나오는

마이크로소프트 솔리테어 콜렉션을

클릭해서 실행을 해주시고



실행된 화면에서 위의 게임 종류 중

Spider(스파이더) 를 클릭하셔서

플레이 하시면 됩니다

스파이더 카드놀이 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지금이야 인터넷이 널리 보급되고

무료 게임도 많이 있는 세상이지만


컴퓨터가 처음 도입될 시기에는

인터넷이 없었기 때문에


cd 나 디스켓에 들어있는

게임,유틸 프로그램 등을

구입해야 이용이 가능했습니다



그러다보니 사무용으로

컴퓨터를 구입한 사람의 경우

게임이 하나도 없는 경우도 많았죠


윈도우에서는 이런 이용자를 위해

간단한 몇가지 게임을 넣어주는데


지뢰찾기,스파이더 카드놀이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스파이더 카드놀이 - 시대의 변화>

 

하지만 초고속 인터넷이 보급되고

여러가지 무료 프로그램, 게임 등을

인터넷으로 받을 수 있게 되었죠


스파이더 카드놀이 같은

게임의 이용자는 줄어들었고


윈도우에서는 해당 게임을

기본 설치에서 빼야하는지 고민하게 됩니다


윈도우 7 이하 버전에서는

기본 설치가 되지만



윈도우 7 버전에서는 설치는 하되

비활성화 되어 있는 형태로 바뀌고


윈도우 7 다음 버전부터는

완전히 빠져서 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를 받아야 하도록 바뀝니다


아마 윈도우 7 에서의 비활성화는

활성화 해서 게임을 이용하는 사람의 수를

파악하는 목적이었다고 볼 수 있겠죠


사용자가 가장 많은 윈도우 7 과 윈도우 10 에서

스파이더 카드놀이를 이용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 7 스파이더 카드놀이>


윈도우 제어판에서는 설치는 되어 있지만

비활성화 되어 있는 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습니다


작업 표시줄 왼쪽에 있는

윈도우 마크 (시작)을 클릭해주세요



바로 위의 검색창에

"프로그램" 을 입력해주세요


위쪽에 표시되는 검색 결과 중

제어판 항목 안에 있는

프로그램 및 기능을 실행합니다


이후 과정은 2부 에서

이어서 하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 10 스파이더 카드놀이>



윈도우 10은 검색창이

작업표시줄에 포함되어 있죠


작업표시줄 왼쪽의 검색창에

"스토어" 라고 입력을 해주시고


위쪽 검색 결과로 나오는

스토어를 실행해주세요


스파이더 카드놀이 2부

(관련 포스팅 링크)


2부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나머지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